김성수 | 사진작가
2008 파리한국문화원 유망작가 선정을 시작으로, 2010 대구사진비엔날레 우수 포토포리오, 2012 세코사진상, 2015 KT&G상상마당 SKOPF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었고 2019 한미사진미술관의 scholarship을 받았다. 소마미술관, 소다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고은사진미술관, 루나사진페스티발, 서울사진축제, 성곡미술관 등 그룹전을 / 파리한국문화원, 갤러리온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김승구 | 사진작가
상명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에서 공부했다. Filter Space(2019, 시카고, 미국), The Korea Society(2019, 뉴욕, 미국), KT&G 상상마당 홍대 (2019, 서울, 한국), 아트비트 갤러리 (2018, 서울, 한국), BMW 포토스페이스(2017, 부산, 한국), 탈영역우정국(2016, 서울, 한국), 송은아트큐브(2015, 서울, 한국)에서 개인전을. Fotografiska(2020, 뉴욕, 미국), BBA Gallery(2020, 베를린, 독일), The Silos(2020, 휴스턴, 미국), 경기도 미술관(2017, 안산, 한국), 송은아트스페이스(2015, 서울, 한국) 등 여러 그룹전에도 참가했다. 푸쉬킨 미술관(모스코바, 러시아), 플로샤드 미라 미술관(크라스노야르스크, 러시아), 현대사진미술관(시카고,미국), KT&G 상상마당 갤러리(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서울), 경기도 미술관(안산), 고은사진미술관(부산), 동강사진박물관(영월)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HOMEPAGE
📌INSTAGRAM
장순강 | 큐레이터
이화여자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형 예술학을, 미국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문화예술 경영학을 전공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를 거쳐 2020년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사진 담당 학예연구사로 재직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예술학과에서 한국현대사진에 관련된 연구로 박사논문을 진행하고 있다.
#. 특강 강사
김효연 | 사진작가 (제12회 KT&G SKOPF 올해의 최종 사진가)
감추어지거나 망각된 역사적 사건, 환경적, 정치적 장소가 개인과 집단의 삶에 가져오는 변화를 연구하며 밀도있는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진과 영상매체,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다학제적 방법론을 통한 서사학(narratology)을 구축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핵전쟁과 한국인 원폭피해자 1-4세대를 조망한 《감각이상》 프로젝트와 환경위기, 전쟁, 자본주의 등으로 인한 ‘멸종‘에 대비하는 시설과 인물을 연구한 《끝의 종》 프로젝트가 있다. 개인전으로는 <감각이상感覺異常>(2021, 서울, 한국), <부유하는 말들 Floating Words>(2021, 밀양, 한국), <Very Reality Show>(2013, 서울, 한국)이 있으며, 그룹전으로 <흑백논리>, <LIFE, 삶>(2024, 서울, 한국), <Ten by Ten>(2024, 휴스턴, 미국> 등 다수 참여했다.
📌HOMEPAGE
📌INSTAGRAM
이손 | 사진작가 (제14회 KT&G SKOPF 올해의 최종 사진가)
사진매체를 중심으로 작업해 왔으며, 영상과 퍼포먼스등 시간 기반 매체의 작업들을 시도하고 있다. 분명히 겪었던 사건과 감각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거나 분명한 언어로 말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업을 해 왔다. 개인적인 경험과 감각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풀 수 있을지, 타인에게 열린 것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작업하고 있다. 보스토크 프레스 'Docking' 등 공모 프로그램에 선정 되었으며, <낯선 청중 앞에서>(서울, 2022), <Narrat>, <동화의 변주> (2023, 서울, 한국), <밀착가드>, <Hard memory>(2020, 서울, 한국), <Sliding door: slide to open>(2019, 서울, 한국) 등 여러 전시와 퍼포먼스에 참여했다. 2023 제14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로, 역대 최종 사진가 중 최연소 기록을 달성했다.
📌HOMEPAGE
박현주 | 그래픽 디자이너 (SLAP 생활예술사진가 11-12기)
순수 미술을 전공하고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제작과 작업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기획한다. 이러한 활동을 하고자 만든 브랜드 ‘이사각’을 운영 중이다. (‘이사각’은 ‘이 사각이 제가 원하던 그 사각입니다’ 의 ‘이사각’이다. 작가와 디자이너로서 본인이 제작한 평면작업(그림, 판화, 사진, 그래픽, 책 등)을 지칭하기도 하고, ‘사각’에 ‘장면’, ’scene’이란 의미를 반영해 ‘내가 바라던 순간을 보고자 하는 활동’을 뜻하기도 한다.)
KT&G 상상마당이 기획한 <2023 6th Over the Rainbow>, <KT&G장학재단 상상장학캠프_예술모아 열음>, <상상 두;드림 DoDream>, <지구에 커튼을 쳐 줄게>, <2nd NEW CLASSIC : 시작은 빛>, <Hug Me : 우리가 사랑할 때> 등과 다시서점, 강서구청, 국회도서관, 영등포문화재단, 은평문화재단이 기획한 <강서 N개의 서울>, <책과 함께하는 국회도서관 봄꽃축제>, <일상창작자>, <예술시장 다다> 등을 디자인하였다.
📌HOMEPAGE
📌INSTAGRAM
김성수 | 사진작가
2008 파리한국문화원 유망작가 선정을 시작으로, 2010 대구사진비엔날레 우수 포토포리오, 2012 세코사진상, 2015 KT&G상상마당 SKOPF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었고 2019 한미사진미술관의 scholarship을 받았다. 소마미술관, 소다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고은사진미술관, 루나사진페스티발, 서울사진축제, 성곡미술관 등 그룹전을 / 파리한국문화원, 갤러리온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김승구 | 사진작가
상명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에서 공부했다. Filter Space(2019, 시카고, 미국), The Korea Society(2019, 뉴욕, 미국), KT&G 상상마당 홍대 (2019, 서울, 한국), 아트비트 갤러리 (2018, 서울, 한국), BMW 포토스페이스(2017, 부산, 한국), 탈영역우정국(2016, 서울, 한국), 송은아트큐브(2015, 서울, 한국)에서 개인전을. Fotografiska(2020, 뉴욕, 미국), BBA Gallery(2020, 베를린, 독일), The Silos(2020, 휴스턴, 미국), 경기도 미술관(2017, 안산, 한국), 송은아트스페이스(2015, 서울, 한국) 등 여러 그룹전에도 참가했다. 푸쉬킨 미술관(모스코바, 러시아), 플로샤드 미라 미술관(크라스노야르스크, 러시아), 현대사진미술관(시카고,미국), KT&G 상상마당 갤러리(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서울), 경기도 미술관(안산), 고은사진미술관(부산), 동강사진박물관(영월)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HOMEPAGE
📌INSTAGRAM
장순강 | 큐레이터
이화여자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형 예술학을, 미국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문화예술 경영학을 전공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를 거쳐 2020년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사진 담당 학예연구사로 재직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예술학과에서 한국현대사진에 관련된 연구로 박사논문을 진행하고 있다.
#. 특강 강사
김효연 | 사진작가 (제12회 KT&G SKOPF 올해의 최종 사진가)
감추어지거나 망각된 역사적 사건, 환경적, 정치적 장소가 개인과 집단의 삶에 가져오는 변화를 연구하며 밀도있는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진과 영상매체,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다학제적 방법론을 통한 서사학(narratology)을 구축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핵전쟁과 한국인 원폭피해자 1-4세대를 조망한 《감각이상》 프로젝트와 환경위기, 전쟁, 자본주의 등으로 인한 ‘멸종‘에 대비하는 시설과 인물을 연구한 《끝의 종》 프로젝트가 있다. 개인전으로는 <감각이상感覺異常>(2021, 서울, 한국), <부유하는 말들 Floating Words>(2021, 밀양, 한국), <Very Reality Show>(2013, 서울, 한국)이 있으며, 그룹전으로 <흑백논리>, <LIFE, 삶>(2024, 서울, 한국), <Ten by Ten>(2024, 휴스턴, 미국> 등 다수 참여했다.
📌HOMEPAGE
📌INSTAGRAM
이손 | 사진작가 (제14회 KT&G SKOPF 올해의 최종 사진가)
사진매체를 중심으로 작업해 왔으며, 영상과 퍼포먼스등 시간 기반 매체의 작업들을 시도하고 있다. 분명히 겪었던 사건과 감각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거나 분명한 언어로 말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업을 해 왔다. 개인적인 경험과 감각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풀 수 있을지, 타인에게 열린 것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작업하고 있다. 보스토크 프레스 'Docking' 등 공모 프로그램에 선정 되었으며, <낯선 청중 앞에서>(서울, 2022), <Narrat>, <동화의 변주> (2023, 서울, 한국), <밀착가드>, <Hard memory>(2020, 서울, 한국), <Sliding door: slide to open>(2019, 서울, 한국) 등 여러 전시와 퍼포먼스에 참여했다. 2023 제14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로, 역대 최종 사진가 중 최연소 기록을 달성했다.
📌HOMEPAGE
박현주 | 그래픽 디자이너 (SLAP 생활예술사진가 11-12기)
순수 미술을 전공하고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제작과 작업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기획한다. 이러한 활동을 하고자 만든 브랜드 ‘이사각’을 운영 중이다. (‘이사각’은 ‘이 사각이 제가 원하던 그 사각입니다’ 의 ‘이사각’이다. 작가와 디자이너로서 본인이 제작한 평면작업(그림, 판화, 사진, 그래픽, 책 등)을 지칭하기도 하고, ‘사각’에 ‘장면’, ’scene’이란 의미를 반영해 ‘내가 바라던 순간을 보고자 하는 활동’을 뜻하기도 한다.)
KT&G 상상마당이 기획한 <2023 6th Over the Rainbow>, <KT&G장학재단 상상장학캠프_예술모아 열음>, <상상 두;드림 DoDream>, <지구에 커튼을 쳐 줄게>, <2nd NEW CLASSIC : 시작은 빛>, <Hug Me : 우리가 사랑할 때> 등과 다시서점, 강서구청, 국회도서관, 영등포문화재단, 은평문화재단이 기획한 <강서 N개의 서울>, <책과 함께하는 국회도서관 봄꽃축제>, <일상창작자>, <예술시장 다다> 등을 디자인하였다.
📌HOMEPAGE
📌INSTAGRAM